[Flutter / 플러터] Null Safety 란?

2022. 5. 2. 17:28Flutter

1.  Flutter가 2.0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dart 언어에 Null Safety가 적용되었다.

  - 어떤 변수에 대해서 Null이 가능한 변수인지 아닌지 판단할수 있음에 따라 Runtime Error 줄일수 있다. ( 생산성 향상)

  - 기본적으로 변수선언을 할때 null 을 허용하지 않는다.

  - 변수값이 초기화 되지않았거나 null 전달하게 되면 런타임 에러는(앱이 동작할때 나는 에러)는 발생하지 않고, 코드를 편집하는

     IDE로 부터 빠른 피드백을 받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정이 용이하도록 했다.

Null Safety 문법을 통해 Null 값 허용

 

2. Null Safety 문법

 - 변수에 Null 값을 허용하고 싶으면 자료형 뒤어 ? 를 붙힌다.

 

 - Null이 들어가지 않고 확실한 변수값이 들어간다고 선언하고 싶으면 ! 키워드를 붙여준다.

 

 - late 연산자

String앞에 late 연산자를 선언함에 따라 오류 방지

- Named Parameter

null safety 적용 전에는 생성자 일반 변수 선언이 가능했지만 null safety 적용 이후에는 required 키워드를 명시하여 필수적으로 파라미터 값을 넘겨줘야한다고 선언하여야합니다.

'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 Flutter / 플러터] BuildContext 이해하기  (0) 2022.04.26
맥북 M1 에어 Flutter 설치하기  (2) 2022.04.21